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공부/Next

(20)
next-intl을 이용한 다국어 처리 국내 서비스라고 하더라도 글로벌 사용자를 고려해 다국어 지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`next-intl`을 사용해 간단하고 일관성 있는 다국어 처리 구조를 만들었고, 그 구조와 사용 패턴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합니다.next-intl 사용 이유 ✨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일관된 처리`next-intl` 은 Next.js의 서버 사이드 렌더링(SSR)과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(CSR) 모두에서 일관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 자동 로딩 및 타입 지원 다국어 메시지 파일을 자동으로 로드하고, Typescript와의 호환성을 제공하여 타입 안정성을 보장해 주기 때문에 실수를 줄이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. locale 기반 포맷팅 지원숫자, 날짜, 시간 등 다양한 포맷을 lo..
[성능 최적화] Next.js HydrationBoundary를 활용한 서버-클라이언트 데이터 최적화 Next.js 서버 컴포넌트와 Tanstack Query를 활용해 성능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합니다.서버 - 클라이언트 데이터 최적화   📖✨ Next.js의 서버 컴포넌트에서 데이터를 미리 패치해 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넘겨준다면 초기 렌더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. ✨ 기존 코드기존에는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`Tanstack Query`를 사용해 데이터를 패칭을 했습니다.const MainComponent = () => { const userId = useUserId(); const { data: tourismList, isPending isError } = useGetTourismListQuery(userId); ...}  리팩토링 코드`HydrationBoundary`와 `..
Supabase에서 타입 설정하기 오늘은 Next.js에서 Supabase를 사용할 때 자동으로 타입을 생성하고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합니다! Supabase 로그인 📖먼저 터미널에서 `npx supabase login`를 입력해 Supabase 로그인을 해줍니다.npx supabase login 그럼 아래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  인증 번호를 복사하고 터미널에 붙여 넣기를 해줍니다. Supabase 프로젝트 초기화📖로그인을 했다면 `npx supabase init`를 입력해 Supabase와 관련된 기본 설정 파일들을 생성해 줍니다.(자동으로 생성)npx supabase init  Supabase 타입 생성📖supabase 홈페이지에서 Project_id를 복사한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원하는 위치에 `databa..
[리팩토링] queries 폴더 구조 변경 및 메서드명 수정 기존 코드 📖useQuerys.ts기존 폴더 구조는 `queries > useQuerys.ts` 이렇게 구성되어 있었고 query 메서드 명도 직관적이지 않기 때문에 한눈에 들어오지 않았습니다. // 스탬프 active 리스트 가져오기const useGetStampActive = (userId: string) => { return useQuery({ queryKey: QUERY_KEY.STAMPLIST(userId), queryFn: () => fetchActiveStamp(userId), enabled: !!userId, // userId가 있을 때만 쿼리 실행 refetchOnWindowFocus: true });};// 사용자의 스템프 항목 중 현재위치 주소가 일치하는 데..
[리팩토링] Icon 컴포넌트 리팩토링 이번엔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Icon 컴포넌트를 리팩토링한 경험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.SVG 아이콘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경색과 반경 조정, 동적 사이즈 스케일링을 추가했습니다! 기존 코드 문제 📖기존 Icon 컴포넌트는 각각 아이콘을 렌더링 하는 기능만 가지고 있었습니다.  ❗문제점 1. 중복되는 코드가 너무 많았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점2. 사용자가 `배경색`와 `반경 설정`을 하려면 새로운 컴포넌트를 생성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일관적인 스타일링의 어려움3. SVG 사이즈 조정 시 배경만 커지는 문제  다양한 사이즈를 사용하는 UI에서 큰 문제였습니다. 리팩토링 📖기존 Icon 컴포넌트// AlbumIcon.tsxexport const AlbumIcon = () => { retu..
Next 커스텀 훅을 사용한 모달창 기능 구현 모달창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재사용할 수 있게 커스텀 훅을 활용해 모달 기능을 구현했습니다. 왜 커스텀 훅으로 모달을 구현했는지? 📖모달창을 구현하다 보니 다양한 컴포넌트에서 동일한 모달 로직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. 그래서 효율성과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커스텀 훅으로 분리했습니다! useModal 커스텀 훅 📖`useModal` 훅에서는 모달의 상태, 열기, 닫기, 포탈 렌더링 로직을 포함하고 있고 외부로 반환하고 있습니다.import { useCallback, useEffect, useState } from 'react';import { createPortal } from 'react-dom';const useModal = () => { const [isOpen..
[리팩토링] 데이터 로직 분리 및 서버 상태 관리 최적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리팩토링 한 내용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합니다. 기존 코드 📖useEffect를 사용한 데이터 요청 처리`useEffect` 내부에서 `fetchUser` 메서드를 통해 사용자 ID를 가져오고 ID가 있는 경우 서버에 스탬프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로직을 짰습니다.import { useEffect, useState } from 'react';import { useQuery } from '@tanstack/react-query';// 로그인 유저 ID 상태const [userId, setUserId] = useState(null);useEffect(() => { const checkUser = async () => { const user = await fetchUser(); ..
Next 카카오맵을 활용한 시도별 가로 스크롤 버튼 이동 구현 사용자 경험을 고려해 카카오맵 기반 지역별 필터링과 버튼 스크롤 시 지도 이동 기능을 구현했습니다. 가로 스크롤 버튼 구현 📖시, 도별 버튼이 화면 하단에 가로로 스크롤되며 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한 시, 도의 폴리곤이 지도에 렌더링 됩니다. `Swiper`라이브러리를 사용해 구현했습니다. 전체 {siDoName.map((sido) => ( {sido.name} ))}  시, 도 선택에 따른 지도 이동 및 폴리곤 렌더링 📖 선택한 시, 도 폴리곤 필터링사용자가 시, 도를 클릭하면 해당 시, 도의 좌표 데이터를 바탕으로 폴리곤 path를 업데이트 하고 지도를 그립니다.const updatePolygonPath = (path: PathType, index: number) => { setSele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