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prop drilling

(3)
전역 상태 관리, 정말 필요한가? 현대 프론트엔드 개발에서는 저역 상태 관리 도구의 사용이 일반적입니다.하지만 모든 프로젝트에서 전역 상태 관리가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.  이 글에서는 전역 상태 관리가 왜 필요한지, 언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합니다.1. 전역 상태란? 📖전역 상태는 앱의 여러 컴포넌트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. 예를 들어로그인된 사용자 정보쇼핑몰의 장바구니 데이터다크 모드와 같은 UI 설정 이러한 데이터는 앱 전반에서 공유되며, 여러 컴포넌트에서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. 2. 전역 상태 관리가 필요한 경우?📖전역 상태 관리가 필요한지 판단하려면 데이터의 범위와 복잡성을 고려해야 합니다. 데이터가 여러 컴포넌트에서 사용될 때예) 로그인된 사용자 정보헤더에서 사용자..
[개인 과제] 포켓몬 도감 회고 개인 과제 소개 📖react, styled-components, context API를 이용한 포켓몬 도감입니다.배포 링크 : https://pokemon-app-sepia-nine.vercel.app/깃허브 주소 : https://github.com/smu06030/pokemon-app 요구 사항 📌필수 구현 사항✅ Git 브랜치 전략 사용 (props-drilling, context)✅ 페이지 라우팅 구현 (react-router-dom)✅ 도감 페이지 구현각 포켓몬 카드의 추가 삭제버튼클릭 시 디테일 페이지 이동✅ 디테일 페이지 구현뒤로 가기 버튼 클릭 시 기존 리스트 유지✅ 알림 기능 구현 (sweetalert2)✅ styled-components 스타일링 사용 기술 🛠️컴포넌트 기반의 구조..
React 입문 3 (Props, State) props란 📖컴포넌트끼리의 정보교환 방식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게 물려준 데이터입니다!props는 반드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흐른다. (부모 -> 자식 단반향)props는 읽기 전용을 취급하며, 변경하지 않는다. Props로 값 전달하기컴포넌트 간의 정보를 교류할 때 `props`를 사용합니다.// src/App.jsximport React from "react";function App() { return ;}function GrandFather() { return ;}function Mother() { const name = '홍부인'; return ; // 💡"props로 name을 전달했다."}function Child(props) { console.log(props); //..